PVC - 출처 : 네이버 백과사전
Polyvinyl chloride
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'폴리염화비닐', '염화비닐수지'라고도 하며 PVC로 약칭한다.
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플라스틱으로 필름, 시트, 성형품, 캡 등 광범위한 제품으로 가공된다.
플라스틱의 대표적인 PVC는 원래 딱딱한 물질로 프탈산계(phthalates, DEHP, DINP, DBP 등) 가소제나 아디핀산계(adipates,DHEA 등) 가소제를 사용해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인 뒤 제품화된다.
그린피스는 프탈산계 가소제가 간과 신장 장애·생식 기형을 유발하고 내분비계 장애 물질임을 경고한 바 있고 지난 98년 한국소비자보호원은 PVC 소재 장난감에서 가소제를 다량 검출하여 가소제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.
또 유럽연합 산하 '독성·생태독성·환경에 관한 과학위원회'는 PVC로 만든 장난감 제품이 인체에 유해한지에 대해 검토한 후 3세 이하의 아이가 장난감을 빨 때 잠재적인 유해화학물질인 DEHP와 DINP등이 아이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한 바 있다.
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은 동물 실험에서 간과 콩팥에 심한 손상을 입힌다는 점이 실험적으로 밝혀진 적이 있다.
이에따라 유럽이나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가소제가 간이나 신장에 암을 유발하고 다른 장기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여 가소제가 포함된 PVC 재질의 유아용 완구에 대한 판매 금지 또는 제품 회수 등의 안전 조치를 취하고 있다.
우리나라는 PVC를 말랑말랑하게 해주는 물질인 DEHP를 치아발육기나 젖꼭지 등 어린이들이 입에 넣을 수 있는 일부 PVC 완구에 대해서만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. 또한 2005년부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병원의 수액팩과 혈액팩으로 PVC 팩을 사용하지 말라는 권고를 한 상태다.
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,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.